반응형
연방공개시장위원회(FOME) 정례회의 이후 발표된 성명을 요약하자면 아래와 같다.
▶경제의 진로는 바이러스에 의해 좌우될 것이다. 백신의 진전과 공급 제약 완화는 경제활동과 고용을 계속 증가하도록 지원하고 인플레이션은 하락하도록 지원할 것으로 예상된다.
경제 전망은 대한 위험은 계속 남아있다.
▶ 위원회는 완전 고용과 장기 물가 2% 달성을 목표로 한다.
이런 결과가 결과가 달성될 때까지 완화적인 통화정책 스탠스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한다.
▶현재 매달 매입하고 있는 국채 800억 달러, MBS 400억달러 수준에서 11월부터 매달 150억 달러 씩 동일한 규모로
매입을 축소 할 것이다. 이는 8개월 동안 진행될 것이며 2022년 6월에 종료 예정이다.
단, 연준은 경제 상황에 따라 조정 가능성 있다고 언급했다.
▶연방기금금리(FFR) 목표치는 기존과 동일하게 0~0.25%씩 유지 동결한다.
하지만 FOME 성명 발표 이후 미 3대 지수는 사상최고치 경신했다.
S&P 500 : 4,660.57pt (+29.92 : 0.65%),
나스닥 : 15,811.58pt (+161.98 : 1.04%)
다우존스지수 15,811.58(+104.95 : +0.29%)
아래는 최근 10월 발표 된 실업률 수치 이며 4.8%를 기록하고 있다.
이에 제롬 파월의장은 2022년 중반 완전고용에 도달한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함으로서 계속해서 지켜볼 필요가 있다.
source: 미 노동부
300x250
반응형
'해외 주식 > 해외 시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2년 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(FOMC) 의사록에서 양적 긴축(QT) 우려 발언으로 나스닥 -3.34% 급락 (0) | 2022.01.06 |
---|---|
[Breaking News] 화이자(Pfizer) 경구용 치료제(알약) 성공적인 실험 결과로 FDA 승인 요청 발표 > 주식시장 대반전 상황 연출 (0) | 2021.11.06 |
2021년 10월 19일 : SEC의 첫 승인은 받은 비트코인 ETF 뉴욕증권거래소(NYSE)에서 첫 거래 개시 (1) | 2021.10.19 |
골드만 삭스 2021~2022년 미국 국내 총생산율(GDP) 전망 (0) | 2021.10.11 |
미국 원유 2014년 이후 최고치 기록 - 병목현상으로 인플레이션 심화 (0) | 2021.10.06 |
댓글